최근 통계청의 가계금융복지조사에 따르면, 부동산 자산 상위 1%에 속하려면 최소 30억 원의 자산을 보유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5년 전보다 5억 4000만 원 증가한 수치입니다.
1. 상위 1% 부동산 부자의 기준선 변화
- 2019년: 24억 6000만 원
- 2024년: 30억 원
- 5년 사이 5억 4000만 원의 상승을 보였습니다.
2. 상위 5% 및 10%의 부동산 자산 기준선
- 상위 5%:
- 2019년: 11억 2000만 원
- 2024년: 14억 1000만 원
- 증가액: 2억 9000만 원
- 상위 10%:
- 2019년: 7억 5000만 원
- 2024년: 9억 5000만 원
- 증가액: 2억 원
3. 중위 가구의 부동산 자산 변화
반면, 중위 가구의 부동산 자산은 다음과 같이 변화했습니다:
- 2019년: 1억 6000만 원
- 2024년: 1억 8000만 원
- 증가액: 2000만 원
이는 상위 계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증가폭을 보입니다.
4. 지역별 부동산 자산 격차
특히, 서울 강남권을 중심으로 집값이 급등하면서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의 부동산 자산 격차가 더욱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결론
최근 5년간 부동산 자산의 증가 추세는 상위 계층일수록 더 큰 폭으로 상승하였으며, 이는 자산 양극화 현상을 심화시키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별로도 수도권, 특히 강남권의 집값 상승이 두드러져 지역 간 부동산 자산 격차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반응형
'내집마련 리얼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포 ‘래미안 원베일리’ 70억 거래_매수·매도 전략 총정리 (0) | 2025.03.26 |
---|---|
“지분 5%도 안돼요!” 분당·일산 재건축 규제 강화 핵심 요약 (0) | 2025.03.24 |
강남 아이파크부터 아크로 리버파크까지…지금 팔아야 하나요? (0) | 2025.03.24 |
원베일리도 안 팔린다? 강남 상급지 주택 시장, 거래 절벽의 현실 (0) | 2025.03.22 |
“요즘 집 사기 너무 무서워요…” 대출 규제 이야기 (0) | 2025.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