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e a Blogger

블로그 수익 가이드 | 가비아 도메인 정말 필요한 것일까?

by 사비맘(SavvyMomSteps) 2025. 3. 24.

 지속되는 경기 침체, 터무니 없는 물가 상승으로 이제는 월급으로 못 살겠다. 생각 많이 하실겁니다. 그러면서 또 부업 광고 관련 글, 영상이 엄청나게 눈에 띄이고 있죠. 이 중에서도 블로그 애드센스 많이 들어보셨을 거고, 티스토리, 구글 블로그 스팟, 워드 프레스 순으로 간다고 하죠? 저도 이 순서를 차례 차례 밟고 있고.. 점점 개미지옥으로 빠지는 느낌이긴 합니다. ㅎㅎㅎ 그러면서 여러개의 블로그를 운영을 계획한다면 가비아를 가입하라는 말을 듣게 돼요. 가 비 아?? 🧐
이 개념은 블로그 다계정 운영 + 도메인 관리 + 구글 정책 우회와 관련된 내용인데, 처음 접하면 당연히 어려워 보이죠. 저와 같은 초보 분들을 위해 하나 하나 쉽고 구체적으로 설명해 보려고 합니다.


1. 핵심 개념 요약

☑️쉽게 말하면 가비아 도메인 등록 업체입니다.
☑️네이버에서 주소 사듯, 웹사이트 주소(도메인)를 파는 회사.
☑️도메인 웹사이트 주소 (예: myblog.com)
☑️서브도메인 (새끼 도메인) 도메인에 붙은 하위 주소 (예: blog.myblog.com, stock.myblog.com)
☑️블록: 구글이 블로그를 차단함 검색 결과에 안 뜨게 만듦 (유입↓)
👉🏻다시 말해 우회 차단을 피해 나가는 방식으로 블로그 여러 개를 안전하게 운영하는 전략입니다.



2. 왜 ‘가비아 + 새끼 도메인’이 필요한가?

가비아 도메인 주소가 필요한 이유 일러스트
왜 ‘가비아 + 새끼 도메인’이 필요한가?



1) 문제:
• 티스토리나 구글 블로그를 여러 개 운영하면, 구글이 “스팸”처럼 간주해서 블로그 차단(블록)할 수 있어요.
• IP나 도메인, 콘텐츠 패턴을 보고 “이거 다 같은 사람이 운영하는 블로그 아니야?” 하고 판단하는 겁니다.

✔️ 해결 방법:
• 내 도메인을 사서 → 서브도메인을 만들어서 블로그마다 붙이면, 각 블로그가 독립된 사이트처럼 보여져서 블록 위험이 줄어듭니다.
• 또 도메인 파워를 쌓아서, 검색 노출도 유리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3. 어떻게 하는지? (Step-by-Step)

[1단계] 도메인 구매 (가비아에서)
1. 가비아 접속
2. 원하는 도메인 검색 (예: myrichlife.com)
3. 연간 10,000~20,000원 정도로 구매

[2단계] 서브도메인 만들기
1. 가비아 → 내 도메인 관리
2. DNS 관리 → A레코드 or CNAME 설정
예:
• stock.myrichlife.com → 구글 블로그1
• realestate.myrichlife.com → 티스토리2
3. 이걸 통해 각 블로그마다 다른 주소처럼 연결 가능

[3단계] 서브도메인 연결
• 구글 블로그: 블로그 설정 → “사용자 지정 도메인” 입력
• 티스토리: 블로그 관리 → “도메인 연결” → 서브도메인 입력

 

4. 예시 2가지

[예시 1] 부동산 블로그 3개 운영하려는 경우
• 메인 도메인: richhome.com
• 블로그1: buy.richhome.com (매매 정보)
• 블로그2: rent.richhome.com (전세, 월세 정보)
• 블로그3: news.richhome.com (부동산 뉴스 요약)
각각 다른 주제처럼 보여지고, 한 사람 운영 같지 않게 구성


[예시 2] 구글 검색 최적화(RSS 자동 블로그 운영)
• 메인 도메인: moneyhabit.com
• 블로그1: saving.moneyhabit.com (파킹통장)
• 블로그2: invest.moneyhabit.com (ETF, 미국주식)
• 블로그3: event.moneyhabit.com (앱테크, 이벤트)
블로그 자동 포스팅 시에도 구글이 스팸처럼 안 보게 우회



5. 핵심 요약 & 피드백 그래프


• 여러 블로그 운영 시 차단 방지하려면 ‘내 도메인 + 서브도메인’ 전략이 매우 유용
• 가비아에서 도메인을 사고, 블로그마다 새끼 도메인 연결
검색엔진 최적화 + 블로그 안전성 + 브랜드 이미지까지 3마리 토끼

그래프] 블로그 운영 리스크 & 도메인 전략 비교 그래프

항목 일반 블로그 운영 서브도메인 운영
차단 위험 높음 낮음
브랜드 통일성 낮음 높음
검색엔진 신뢰도 보통 높음
설정 난이도 쉬움 약간 어려움
비용 0원   도메인 구매 비용 있음 (1만~2만 원 /년)


6. 이게 ‘진짜 필요한가?’

✔️ 꼭 필요한 경우:
블로그를 3개 이상 운영하려고 한다면
• 수익형 블로그, 자동화 블로그, RSS 블로그 등 민감한 방식이라면
구글 노출, SEO 신경 쓸 거라면

✔️ 필요 없는 경우:
• 그냥 취미로 블로그 1~2개 운영
• 티스토리만 하나 운영, 직접 글 쓰는 경우
→ 굳이 도메인 살 필요 없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