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 살 때 등기부등본 4번 봐야 한다고요?”
1. 왜 4번이나 확인해야 하죠?
아이 키우는 엄마 입장에서 집을 사는 일은 인생 최대의 결정 중 하나예요. 그런데 중개사분들이 등기부등본 “한 번 보여드렸어요” 하면 정말 괜찮을까요?
❌ 정답은 NO!
✅ 정답은 “최소 4번 확인”입니다.
① | 계약 전 | 소유자, 근저당, 가압류 유무 확인 |
② | 계약 당일 | 전일 대비 변동사항 확인 |
③ | 잔금일 전 | 추가 설정 여부 확인 |
④ | 잔금 다음 날 | 소유권 이전 여부 확인 |
2. 이렇게 하면 편해요! – KB부동산 ‘변동 알림 서비스’
계속 등기부등본을 뽑는 게 번거로우시다면?
“알림 서비스”로 해결하세요.
- KB부동산 앱 접속
- 메뉴 → 전세안전진단 → 안전진단시작 → [홈큐]
- 부동산 주소 입력 → 서비스 신청 완료! →알림 설정 →우리 집 알림 받기 체크
3. 말소사항 포함! 발급할 땐 꼭 체크
대법원 인터넷등기소에서 등기부등본을 뽑을 때 ‘현재 유효사항’만 선택하면 과거 기록이 보이지 않아요.
반드시 ‘말소사항 포함’으로 뽑아야 다음과 같은 기록이 보입니다:
- 압류 이력
- 임차권 등기
- 가압류
- 근저당 말소 내역 등
4. “뭘 봐야 하죠?”보다 “이건 왜 이렇죠?”가 더 중요해요!
많은 분들이 “등기부등본에서 뭘 봐야 해요?”라고 묻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건 “이 항목, 왜 이렇게 돼 있죠?”라는 질문입니다. 정상적인 등본은 보통 갑구: 소유자 1명 / 을구: 없음 구조예요. 이와 다르면 꼭 질문하세요!
5. 2025년 등기법 개정안 체크포인트
- 모바일 등기 신청 가능 – 등기소 방문 없이 신청 가능
- 신탁 부동산 주의 문구 표기 – 등본에 주의 문구 삽입
- 공동 등기 간소화 – 여러 부동산 한 곳에서 신청
- 사기 방지 조항 강화 – 위조 피해 대응
[내집마련 리얼후기] - 2025년 부동산 정책 총정리 | 실거주자라면 꼭 확인할 변화 TOP 5
사비맘의 실전 재테크 블로그|부동산부터 투자까지 한눈에 정리
2025년 부동산 정책, 전세사기 예방법, 신탁부동산 주의사항까지 엄마 시선으로 풀어낸 핵심 가이드
bigfeetsib.tistory.com
[내집마련 리얼후기] - 등기부등본! 매수자·매도자·세입자별 정리 + 대법원 vs KB 부동산 효력 차이까지
사비맘의 실전 재테크 블로그|부동산부터 투자까지 한눈에 정리
2025년 부동산 정책, 전세사기 예방법, 신탁부동산 주의사항까지 엄마 시선으로 풀어낸 핵심 가이드
bigfeetsib.tistory.com
6. 실제 사례로 배우는 리스크 예방법
📌 사례① 잔금일 직전 근저당 추가
→ 계약 취소 및 계약금 손실
📌 사례② 말소사항 미확인으로 임차권 분쟁
→ 입주 후 법적 분쟁 발생
✅ 눈으로 보는 집보다 등본이 더 중요할 때가 있어요
- 등기부등본은 4번 확인이 기본
- 말소 포함 열람 필수
- KB 부동산 알림 서비스로 관리 가능
- 이상한 내역은 무조건 질문!
- 2025년부터 법 개정도 적용!
아이들과 오래 머무를 집이라면,
한 번 더, 두 번 더 꼼꼼히 확인하세요!🌈
'내집마련 리얼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등기부등본! 매수자·매도자·세입자별 정리 + 대법원 vs KB 부동산 효력 차이까지 (0) | 2025.03.31 |
---|---|
주택담보대출 금리 하락? 신생아 특례대출까지! 30~60대 필수 대출 정보 (0) | 2025.03.29 |
반포 ‘래미안 원베일리’ 70억 거래_매수·매도 전략 총정리 (0) | 2025.03.26 |
“지분 5%도 안돼요!” 분당·일산 재건축 규제 강화 핵심 요약 (0) | 2025.03.24 |
서울 집 가진 사람만 부자? 부동산 자산 상위 1% 기준 ‘30억 돌파 (0) | 2025.03.24 |